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통도시 평가 대상 및 방법

지속가능 평가 소개교통도시 평가 대상 및 방법

평가대상도시

지속가능 교통도시 평가의 대상이 되는 도시교통물류권역은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총 71개)

평가대상도시의 그룹 분류는 인구 및 도시특성에 따라 가/나/다/라 총 4개의 그룹으로 구성

  • "가" 그룹 : 특별시․광역시, 7개
  • "나" 그룹 : 인구 30만 이상의 단일도시, 10개
  • "다" 그룹 : 인구 30만 이상의 도농복합시, 19개
  • "라" 그룹 : 인구 10만 이상 ~ 30만 미만 도시, 35개

2025년 지속가능성 평가대상도시 현황

그룹별 평가 대상 도시 구분, 특 광역시, 인구 30만 이상, 인구 30만 미만 등의 안내입니다.
그룹별 평가 대상 도시
구분 특 광역시 인구 30만 이상 인구 30만 미만 ~ 10만 이상
단일도시 도농복합시
그룹
해당도시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수원, 부천, 성남, 시흥, 전주, 의정부, 안산, 안양, 고양, 하남 창원, 용인, 평택, 김포, 포항, 남양주, 청주, 화성, 원주, 김해, 파주, 천안, 진주, 구미, 제주, 광주, 아산, 양산, 세종특별자치시 구리, 오산, 군포, 의왕, 이천, 안성, 양주, 포천, 여주, 춘천, 강릉, 충주, 제천, 공주, 서산, 논산, 당진, 군산, 정읍, 목포, 여수, 순천, 광양, 경주, 김천, 안동, 광명, 경산, 통영, 사천, 밀양, 거제, 서귀포, 나주, 익산
도시수 7 10 19 35

그룹별 관리지표 차등적용

관리지표는 평가하고자 하는 지표의 의미와 평가되는 도시 규모에 따라 적용되는 위계가 다름으로 이를 구분하여 그룹별로 차등 적용함

  • "가" 그룹(특·광역시) : 25개 지표 적용(현황지표 17개, 정책지표 8개)
  • "나" 그룹(인구 30만 이상, 단일도시) : 24개 지표 적용(현황지표 16개, 정책지표 8개)
  • "다" 그룹(인구 30만 이상, 도농복합시) : 23개 지표 적용(현황지표 15개, 정책지표 8개)
  • "라" 그룹(인구 30만 미만 ~ 인구 10만 이상 도시) : 23개 지표 적용(현황지표 15개, 정책지표 8개)
그룹별 지속가능 교통도시 관리지표 - 구분, 평가항목, 관리지표, 그룹별 평가항목 적용 등의 안내입니다.
그룹별 지속가능 교통도시 관리지표
평가부문 평가항목 관리지표 구분
Ⅰ.내연기 관차에서 친환경차로 대전환 친환경차 보급 1. 자동차 등록대수 당 친환경 자가용 등록대수 현황1 O O O O
2. 자동차 등록대수당 친환경 사업용차량(버스·화물·택시) 등록대수 현황2 O O O O
3. 전기차 등록대수당 전기충전인프라 구축기수 현황3 O O O O
4. 환경친화적 교통수단의 이용자확대 지원 노력 정책1 O O O O
기존 내연기관 차배출 감축 5. 인구당 도로부문 자동차온실가스 배출량(하향지표) 현황4 O O O O
6. 인구당 도로이동오염원(PM10) 배출량(하향지표) 현황5 O O O O
7.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지역(LEZ)·특별대책지역 운영 및 관리 등 온실가스·도로이동오염원감축노력 정책2 O O O O
Ⅱ.에너지 절감형 대중교통 체계 강화 대중교통 활성화 8. 인구당 버스운행거리 현황6 O O O O
9. 시가화면적당 대중교통 시설물 개소수 현황7 O O X X
10. 대중교통(버스·지하철·철도) 이용률 현황8 O O O O
11. 대중교통 경쟁력 현황9 O O O O
12.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촉진을 위한 노력 정책3 O O O O
수요관리 강화 및 교통혼잡 개선 13. 자동차 등록대수당 자가용 주행거리(하향지표) 현황10 O O O O
14. 승용차 평균통행속도 현황11 O X X X
15. 주차수요관리 및 출퇴근 교통수요관리를 위한 정책적 노력 정책4 O O O O
Ⅲ.비동력· 무탄소 교통수단지원 자전거 /보행 이용 활성화 16. 비동력·무탄소 수단(자전거·보행) 수송분담률 현황12 O O O O
17. 자전거 또는 보행 활성화 기반 노력 정책5 O O O O
연계교통 확대 18. 인구당 K패스 이용율 현황13 O O O O
19. 대중교통과 기타 수단 연계 노력 정책6 O O O O
Ⅳ.교통안전 ·이동권 확보 안전한 교통체계 구축 20. 인구10만명당 도로교통사고 사고건수(하향지표) 현황14 O O O O
21. 인구10만명당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수(하향지표) 현황15 O O O O
22. 교통사고 감축목표 달성도 현황16 O O O O
23. 교통안전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 정책7 O O O O
이동권 확보 24. 교통약자 이동수단 확보율(저상버스 및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현황17 O O O O
25. 교통약자 이동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 정책8 O O O O
지표26. 기타 지속가능 관련 정책시행 노력(각 2점)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구축 노력 추가 O O O O
신교통수단(트램·BRT·BTX 등 대중교통) 확보 노력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 노력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지속가능 교통정책 수립 노력

평가방법

  • 현황평가는 한국교통연구원(KOTI), 정책평가는 위촉된 평가위원단이 각각 시행한 후, 현황평가 결과와 정책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지자체별 최종 점수를 도출하는 과정을 따름
  • 1단계 : 현황평가 데이터 수집 및 정책평가 증빙자료 요청
    ※ 현황평가 : KOTI가 공신력 있는 통계기관의 데이터를 수집
    ※ 정책평가 : 정팩평가자료는 지자체 평가 담당자가 '지속가능 교통시스템'에 입력
  • 2단계 : 현황평가 및 정책평가 서류 심사 시행
    ※ 현황평가 :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정량평가 시행
    ※ 정책평가 : 지자체가 제출한 증빙자료를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평가 위원단이 정성평가 시행
  • 3단계 : 현황평가결과 및 정책평가결과 종합
    ※ 현황·정책평가 : 개별 관리지표값을 단일 척도로 통일하는 표준화작업을 시행한 후 지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
  • 4단계 : 최종 종합점수 및 순위 도출
    ※ 최종 산출된 종합점수를 통해 각 그룹별로 최종 순위를 도출함
step1. 현황/정책평가 및 경진대회 관련 자료 수집(KOTI - 현황평가 데이터 수집, 국토교통부 - 정책평가 및 경진대회 자료접수(지속가능 교통시스템)), step2. 현황/정책평가 및 우수사례 경진대회 심사 시행(KOTI - 현황평가 분석시행, 평가위원단 - 정책평가 및 경지대회 심사), step3. 현황/정책평가 종합 및 우수사례 경진대회 현장 답사(KOTI - 현황,정책평가 종합, KOTI,평가위원단 - 우수사례 도시 현장실사), step4. 최종 종합점수, 순위 도출(표준화 및 지표별 가중치 적용)